본문 바로가기

일상 · 정보

고교학점제로 바뀌는 2022년을 미리 보자!

반응형

현재 우리 아이들은 2015 개정교육과정을 적용받고 있습니다.

그렇다면 2022 개정교육과정으로 어떤 점이 바뀌는 걸까요?





고교학점제란?

학생이 기초 소양과 기본 학력을 바탕으로 진로 ·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, 이수기준에
도달한 과목에 대해 학점을 취득 · 누적하여 졸업하는 제도 (교육부, 2021)




고교학점제 언제 시작인가요?

고교학점제는 2022년 특성화고 도입, 일반계고에 대한 부분 도입을 거쳐
2025년부터 전체 고등학교에 본격 시행될 예정입니다.

출처 : 교육부, 2021 





고교학점제에 따른 학사제도는?

교육과정 → 수강신청 → 수업운영 → 평가 → 이수 / 미이수 → 학점취득 → 졸업


교육과정 : 학교에서는 우선 학습자의 과목 선택권이 보장되는 학점 기반의 교육과정을 편성합니다.

수강신청 : 학생의 학업 설계 결과와 수요 조사를 반영하여 개설이 가능한 과목을 확정하고, 학생은 개설된 과목 중 원하는 과목을 선택하여 개인 시간표를 작성합니다.

수업 : 개인시간표에 따라 수업에 참여합니다.

이수/미이수 : 교사는 석차보다는 학생이 성취 기준에 어느 정도 도달했는가를 평가함으로써 학생의 과목 이수 여부를 결정합니다.

학점취득 : 학생은 이수한 과목에 대한 학점을 취득하게 됩니다.

졸업 : 누적 학점이 졸업 기준에 도달하면 고등학교를 졸업하게 됩니다. (교육부, 2021)



고교학점제 더 알아보기

고교학점제 홈페이지

고교학점제 홈페이지

www.hscredit.kr







우리나라 교육면에서 근대식 패러다임을 벗어나 지능정보사회의 미래 학교교육으로 혁신해 나가야 할 때인데요.

학교가 변해야 한다는 인식은 다 똑같은데 어느 방향으로 변화해야 할 것이냐에 대해서는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지요

다수가 공감하는 방향은 "학생 개개인에 대한 맞춤형 교육"과 "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와 역량을 함양한 인재를 길러내야 한다"는 쪽이잖아요~

미래 학교교육을 혁신하고자 함에 있어서 교원정책, 교육과정, 교수-학습법, 교육평가, 학교제도 등 여러 창구에서 변화가 있겠지만 위에서 살펴본 고교학점제의 경우에는 "학교제도"를 바꾸고자 하는 하드웨어적인 관점으로의 접근이겠네요





우리 아이도 2025개정교육과정 적용을 받는데요^^

오랜만에 아는 분야가 나와서 주저리주저리 떠들어봤답니다~~!!!

반응형